로고

홍종찬

홍종찬

소속

경상국립대학교 (생명과학부)

AI요약

생명 과학 분야의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홍종찬 교수님은 식물생명공학, 바이오센서, 그리고 인공지능(AI) 융합 연구를 선도하고 계십니다. 교수님의 연구는 식물 신호 시스템 엔지니어링, 유전자 조절 및 스트레스 반응 메커니즘 규명을 통해 식물 성장을 최적화하고 질병 저항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더 나아가 유해 물질 감지용 고감도 앱타머 바이오센서 개발과 질병 치료제 탐색에 몰두하시며, 최근에는 LLM 기반의 질의응답 시스템 개발로 AI 분야 혁신을 모색하고 계십니다. 이러한 융합 연구를 통해 인류의 지속 가능한 미래에 기여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홍종찬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홍종찬
직책교수
이메일jchong@gnu.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생명과학부
사무실 번호0557721320
연구실경상국립대학교 식물생명공학연구소
연구실 홈페이지https://www.gnu.ac.kr/pmbbrc/na/ntt/selectNttInfo.do?nttSn=2118897&mi=9523
홈페이지-
소속경상국립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경상국립대학교 식물생명공학연구소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소장 역임, 식물 유전자 발현 조절 분야 전문가
회사명미주리대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겸임교수

중요 키워드

#바이오센서#시스템생물학#식물전사인자#식물분자생물학#친환경작물#환경스트레스#천연물#의료용소재#식물생명공학#앱타머#AI분석#식물신호시스템#신육종작물#유전체교정#빅데이터

연구 분야

연구 1식물생명공학 및 식물 신호 시스템 엔지니어링
내용홍종찬 교수 연구실은 식물 생명공학 기술을 활용하여 식물의 근본적인 생명 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농업과 식량 안보에 기여하는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식물 신호 시스템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독보적인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식물 성장 최적화 및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가뭄, 염분, 병충해 등)에 대한 질병 저항성 강화를 목표로 합니다. 유전자 조절 메커니즘 규명, 단세포 전사체학 분석을 통한 식물 발생 및 반응 연구, 식물의 중력굴성 관련 유전자 기능 분석 등 기초 연구부터 응용 연구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다룹니다. 또한, CRISPR/Cas9 유전체 교정 기술을 활용한 신육종 작물 개발 및 식물 유용 유전자 발굴에도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물 생명 현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후 변화에 강한 친환경 작물 개발, 생산성 향상, 그리고 농업 분야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 기술을 제공합니다. 다수의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관련 논문을 발표하고 특허를 출원하며 학술적, 산업적 파급 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연구 2환경 유해인자 감지용 앱타머 바이오센서 개발
내용홍종찬 교수 연구팀은 환경 유해인자 및 독성 물질을 정밀하게 감지하고 측정하는 고감도 앱타머 바이오센서 기술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농약, 중금속 등 다양한 환경 오염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DNA/RNA 앱타머를 발굴하고, 이를 기반으로 빠르고 정확한 현장 진단이 가능한 센서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특히, 독성 살충제(말라티온, 피프로닐, 페니트로티온, 디아지논) 검출용 앱타머 바이오센서 개발에 성공하여 관련 특허를 다수 확보하였으며, CRISPR/Cas12a 기반의 바이오센서를 환경 모니터링 및 진단에 응용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기술은 식품 안전성 확보, 수질 및 대기 오염 모니터링, 농업 분야의 잔류 농약 검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기존 분석법 대비 높은 민감도, 선택성, 휴대성 및 경제성을 갖춘 앱타머 바이오센서는 환경 보전 및 공중 보건 증진에 크게 기여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실용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으며, 환경 유해인자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기술을 제공합니다.
연구 3생명과학 AI 융합 및 질병 치료제 탐색
내용홍종찬 교수 연구실은 생명 과학 분야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융합하여 미지의 생명 현상을 규명하고 난치병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특히, 대규모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 분석을 통해 질병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효율적인 신약 후보 물질 탐색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LLM(Large Language Model) 기반의 질의응답 시스템 개발을 통해 복잡한 생명 과학 정보를 해석하고 활용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모색하며 AI 기술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또한, 피부암, 백혈병 등 다양한 질병 치료를 위한 유효 조성물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오토크린 운동성 인자(AMF)와 타목시펜 복합 처리를 통한 항암 효능 극대화 등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분자 도킹, 분자 동역학 시뮬레이션, 약물-타겟 상호작용 분석 등의 전산 생물학 기법을 활용하여 신약 스크리닝의 효율을 높이고, 천연물 및 합성 화합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새로운 약물 후보 물질을 발굴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러한 융합 연구는 정밀 의료 시대에 필수적인 맞춤형 치료제 개발 및 의료 기술 발전에 중요한 토대가 될 것입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학술 교류/협력] - 경상국립대학교와 청도농업대학 간 '2024 제3회 생명과학 공동 심포지엄' 공동 주관. - 미국 미주리대학교와 2006년 복수박사학위 협정 체결 후 8번째 및 9번째 농업생명공학 공동 심포지엄 개최. - 퍼듀대학교와 국내 유일 복수 박사학위 제도 운영. -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중국 등 동남아시아 여러 대학 연구소와 활발히 교류. - BK21 FOUR 사업, RISE 사업 등을 기반으로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 확장 및 국제공동과제 수주, 연구 성과 확산 기여.

학력

학력 사항학사 고려대학교 농화학과, 농학사 ( 1982) 석사 고려대학교 농화학과, 석사 수료 ( 1983) 박사 조지아대학교 식물분자생물학, 이학박사 ( 1989)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