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일화
홍일화
소속
경상국립대학교 (수의학과)
AI요약
경상국립대학교 수의학과 홍일화 부교수님은 동물의 질병 진단 및 치료, 특히 줄기세포와 재생의학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를 축적해 오셨습니다. 간 질환 예방 및 치료, 세포 재생 및 노화 방지를 위한 독창적인 조성물 개발에 주력하시며, 뉴트리아 담즙 및 대망 유래 줄기세포와 추출물을 활용한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다수의 특허 등록을 통해 그 기술력을 인정받으셨으며, 이는 바이오 산업 발전과 국민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홍일화 부교수님의 폭넓은 연구 활동은 수의학 분야를 넘어 재생의학,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산업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홍일화 |
| 직책 | 부교수 |
| 이메일 | ihhong@gn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수의학과 |
| 사무실 번호 | 0557722365 |
| 연구실 | 수의병리학실험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ww.gnu.ac.kr/vet/cm/cntnts/cntntsView.do?mi=2120&cntntsId=1650 |
| 홈페이지 | https://www.gnu.ac.kr/vet/cm/cntnts/cntntsView.do?mi=2120&cntntsId=1650 |
| 소속 | 경상국립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Baylor College of Medicine, Houston, TX, USA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박사 후 연구원 활동 수행 |
| 회사명 | University of California-Berkeley, Berkeley,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박사 후 연구원 활동 수행 |
중요 키워드
#세포 재생#성장 인자#뉴트리아 담즙#동물 질병 진단#수의병리학#줄기세포#항산화#피부 미백#화장품 소재#재생 의학#건강기능식품#바이오 소재#대망 추출물#노화 방지#간질환 치료
연구 분야
| 연구 1 | 줄기세포 및 바이오 소재 기반 재생의학 연구 |
| 내용 | 본 연구실은 줄기세포와 바이오 소재를 활용한 재생의학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돼지 대망 유래 줄기세포 및 그 배양액, 대망 추출물을 이용한 세포 재생 및 노화 방지 기술 연구에서 독보적인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간 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혁신적인 조성물 개발로 이어지며, 인체 내 성장 인자(EGF, FGF, VEGF, HGF, PDGF)의 발현 조절을 통한 조직 재생 촉진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항산화 효소 및 단백질을 활용하여 노화 방지 및 개선 효과를 입증하는 등 다양한 바이오 소재의 기능성을 탐구합니다. 다수의 국내 특허 등록을 통해 줄기세포 배양액을 이용한 세포 재생 및 노화 방지 조성물, 대망 추출물을 통한 세포 성장 및 재생 촉진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았으며, 이는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품 산업에 적용 가능한 상업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세포 노화 억제, 간 손상 개선, 조직 재생 촉진 등 다양한 재생의학 분야의 난제를 해결하고, 실제 산업 현장 및 임상에 적용될 수 있는 차세대 치료제 및 기능성 소재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뉴트리아 담즙 활용 기능성 바이오소재 개발 |
| 내용 | 본 연구실은 뉴트리아 담즙을 활용한 기능성 바이오 소재 개발에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뉴트리아 담즙이 간 보호, 간 기능 개선 및 손상 억제에 효과적인 유효성분을 포함하고 있음을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하였습니다. 특히, 뉴트리아 담즙 내 우르소데옥시콜린산(UDCA) 등 핵심 담즙산 성분이 웅담 대비 높은 비율로 함유되어 있음을 밝혀내어 웅담 대체재로서의 가능성과 경제적 가치를 제시했습니다. 또한, 뉴트리아 담즙의 강력한 항산화, 피부 미백, 항노화 효과를 검증하여 화장료 및 식품 조성물로의 응용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자유라디컬 소거 활성능, 티로시나아제 및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능 연구를 통해 피부 건강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다수의 특허 등록(간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뉴트리아 담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으로 이어져 그 독창성과 기술력을 인정받았으며, 바이오 산업 및 헬스케어 분야에서 새로운 기능성 소재 시장을 개척하고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 연구 3 | 수의병리학 기반 동물 질병 진단 및 연구 |
| 내용 | 본 연구실은 수의병리학을 기반으로 한 동물 질병 진단 및 연구 분야에서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질병의 원인과 병인론을 탐구하며, 질병 경과에 따른 세포 및 조직의 형태학적, 기능적 변화를 심도 깊게 분석하여 정확한 질병 진단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험분석] 질병조직 진단 과제를 다수 수행하며 다양한 동물 질병 사례에 대한 폭넓은 진단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했습니다. 또한, 야생동물 질병 검사기법 표준화를 위한 표준물질 및 시료 확보 연구를 통해 국내 야생동물 질병 진단 시스템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어린 고양이의 종격동 림프종 연구와 뉴트리아의 기생충 감염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연구 등 다양한 케이스 연구를 통해 새로운 질병의 특성을 규명하고, 진단 및 예방 전략 수립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동물의 건강 증진을 넘어 공중 보건 및 생태계 보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수의학 분야의 기초 및 응용 연구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축적된 진단 기술과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동물 질병 관리 및 예방을 위한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학력
| 학력 사항 | 경북대학교 대학원 수의학과 수의병리학 박사 경북대학교 대학원 수의학과 수의병리학 석사 경북대학교 수의학과 수의학사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