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김정환

김정환

소속

경상국립대학교 (의과대학)

AI요약

경상국립대학교 의학과 김정환 교수는 생명 현상의 근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질병 치료 전략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토콘드리아 단백질과 Nrf2 전사 인자의 안정화 연구를 통해 암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이옥신에 의해 유도되는 유전자 기능 및 Gadd45b 유전자의 조절인자 연구를 수행하며 유전적 메커니즘 규명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김정환 교수는 동백뿌리 추출물을 활용한 비만, 대사성 질환 및 항산화 조성물 개발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건강기능식품 및 치료제로서의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난치성 질환 극복과 국민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김정환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김정환
직책교수
이메일junghwan.kim@gnu.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의과대학
사무실 번호0557728070
연구실약리학교실
연구실 홈페이지-
홈페이지-
소속경상국립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경상국립대학교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부교수 (2018 ) 조교수 (2014 ~ 2017)

중요 키워드

#비만 치료제#Slc46a3#동백뿌리#천연물 의약품#Gadd45b#항산화 물질#항암 신약#대사성 질환#기능성 식품#Nrf2#지방간#미토콘드리아 연구#약리 연구#인슐린 저항성#바이오 헬스

연구 분야

연구 1Nrf2 매개 항산화 방어 및 항암 치료 전략 개발
내용본 연구실은 인체 내 중요한 항산화 방어 시스템인 Nrf2(Nuclear factor (erythroid-derived 2)-like 2) 전사 인자의 활성 조절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토콘드리아 단백질과 Nrf2 전사 인자의 안정화 관계를 규명하여 암 세포의 성장 억제 및 사멸을 유도하는 새로운 항암 전략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비정상적인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Nrf2의 파트너 단백질을 탐색하고 이들의 기능을 밝혀내, 이를 기반으로 Nrf2 활성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천연물 및 합성 화합물을 선별하여 화학적 암 예방제 및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세포 보호 및 질병 발생의 핵심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암뿐만 아니라 다양한 만성 질환 치료에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됩니다. 현재 진행 중인 다수의 국책 과제(EZBARO 프로젝트 등)를 통해 ATAD3A-Nrf2-CLPP axis와 같은 특정 신호 전달 경로를 이용한 항암 효과를 검증하며, 실제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암과 산화적 스트레스 관련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에게 혁신적인 치료 대안을 제시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연구 2천연물 기반 대사성 질환 및 간 질환 치료제 연구
내용김정환 교수 연구실은 만성적이고 복합적인 대사성 질환 및 간 질환 치료를 위한 천연물 기반 신규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동백뿌리 추출물로부터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비만, 대사성 질환(인슐린 저항성 포함), 그리고 지방간의 예방, 개선,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입증하고 관련 특허를 2건 보유하고 있습니다. 동백뿌리 추출물은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되는 비만을 억제하고, 간 조직 내 지방 축적을 감소시키며, 간 기능 지표(ALT)를 개선하는 효능이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동백나무 뿌리 유래의 항산화 조성물은 낮은 세포 독성으로 항산화 활성을 보여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다이옥신(TCDD)과 같은 환경 독소에 의해 유도되는 지방간 축적의 분자 메커니즘(PPARα 활성, Gadd45b 발현 조절, SLC46A3 유전자 기능 등)을 규명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방간, 지방간염, 간섬유화, 간암과 같은 다양한 간 질환의 발병과 진행을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표적을 발굴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 3난치성 질환의 병리 기전 규명 및 치료 표적 발굴
내용본 연구실은 현대 의학으로 해결이 어려운 난치성 질환의 근본적인 발병 기전을 밝히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혁신적인 치료 표적을 발굴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급성 신부전 및 이에 따른 다발성 장기부전의 복잡한 발병 기전을 다각적으로 연구하여 효과적인 약리학적 치료법 개발을 목표로 합니다. 신경퇴행성 질환 분야에서는 파킨슨병의 발병원인 분석, 예방 및 치료제 타겟 발굴에 집중하고 있으며, 분자생물학, 생화학, 신경생물학, 약리학적 실험 기법뿐만 아니라 사람 줄기세포 활용 모델 및 in vivo 파킨슨병 모델을 확립하여 연구의 깊이를 더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당뇨, 비만, 허혈성 질환, 관절염 등 다양한 신체 질환과 중추신경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그 기전을 규명하여 다학제적 관점에서의 약물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ATP 및 아데노신 관련 병리 기전 연구를 통해 다양한 질환 모델에서 약물 탐색 및 작용 기전을 규명하며, 이를 통해 아직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은 난치성 질환 분야에서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참여 과제] - [EZBARO]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의 Nuclear factor (erythroid-derived 2)-like 2 (Nrf2) 전사 인자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과 항암 전략연구 (2021-03-01 ~ 2022-02-01) - Gadd45b 유전자의 조절인자 연구 (2019-09-01 ~ 2020-08-01) - [EZBARO]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의 Nuclear factor (erythroid-derived 2)-like 2 (Nrf2) 전사 인자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과 항암 전략연구(1차년도) (2019-06-01 ~ 2020-02-01) - 다이옥신에의해 간 특이적으로 유도되는 Slc46a3 유전자의 기능 연구 (2017-07-01 ~ 2018-06-01) - (2차년도-EZ)다이옥신에의해 간 특이적으로 유도되는 Slc46a3 유전자의 기능 연구 (2016-07-01 ~ 2017-06-01) [기술이전/자문] - 동백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관련 특허 (등록, 1027492160000) - 동백나무 뿌리 유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관련 특허 (등록, 1022117990000)

학력

학력 사항학사 순천향대학교 (1996 ) 석사 서울대학교 (2000 ) 박사 Rutgers University (2009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