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전종록 경상국립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부교수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친환경 바이오 기술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밀웜을 활용한 플라스틱 분해 및 탄소 저감 기술, 휴믹 물질을 이용한 토양 개량 및 작물 생장 촉진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매스 기반 친환경 소재 개발과 천연 유래 염모제 및 자외선 차단제 개발을 통해 환경과 인류 건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전 교수 연구팀은 다양한 국책 과제 수행과 다수의 특허 등록을 통해 실용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하며, 농업 및 환경 분야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그의 연구는 미래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중요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전종록 |
| 직책 | 부교수 |
| 이메일 | jrjeon@gn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환경생명화학과 |
| 사무실 번호 | 0557721962 |
| 연구실 | 응용미생물학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 |
| 홈페이지 | - |
| 소속 | 경상국립대학교 |
| 연구 1 | 곤충 기반 친환경 폐기물 자원화 및 탄소 저감 |
| 내용 | 밀웜을 활용한 폐플라스틱 분해 및 유기물 전환 기술에 중점을 둡니다. 슈퍼밀웜의 폐플라스틱(특히 스티로폼) 분해 능력을 연구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설물(분변)을 식물 생장 촉진 및 바이오매스 증진용 친환경 비료, 즉 '인공 휴믹산'으로 재자원화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폐기물 문제 해결과 동시에 농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며, 스티로폼 폐기물을 가치 있는 비료로 전환하여 탄소 저감 효과를 창출합니다. 특히, 세계 최초로 인공 휴믹산 제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지속 가능한 자원 순환 시스템 구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본 연구는 ㈜엠씨이에 관련 기술을 이전하며 상업적 가치를 인정받았고, 곤충을 활용한 친환경 탄소저감 및 단백질 고도화를 통한 ESG사업, 밀웜을 이용한 친환경 페스티로폼 분해 일원화 시스템 구축 및 탄소저감방법 인증 등 다수의 국책 과제를 통해 기술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폐기물의 가치화 및 환경 부담 감소에 기여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
| 연구 2 | 지속가능 농업을 위한 휴믹 물질 및 바이오 비료 |
| 내용 | 휴믹 물질의 토양 형성 원리를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작물 생장 촉진 및 토양 환경 개선을 위한 바이오 비료 개발에 집중합니다. 백색 부후균의 리그닌 대사를 통한 기능성 휴믹 물질 형성 메커니즘을 연구하며, 변형된 리그닌 유래 물질이 식물 뿌리 자극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저등급 석탄 유래 휴믹 물질과 식물 폴리페놀을 활용하여 작물 뿌리 내생 마이크로바이옴 변화를 유도하고, 토양 유래 메탄가스 발생을 저감하는 기술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휴믹산이 코팅된 수산화인회석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메탄가스 저감 조성물과 리그닌-Fe-우레아 복합 구조 기반의 질소 비료 개발을 통해 농업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밀웜 분변에서 추출한 휴믹 물질의 미세플라스틱 검출 및 수경재배 실험을 통해 실용적 활용 가능성을 탐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친환경 농업 솔루션을 제공하여 토양 건강을 회복하고 작물의 생산성을 증진하는 데 기여하며, 토양 유래 온실가스 저감에도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합니다. |
| 연구 3 | 바이오매스 기반 친환경 기능성 소재 개발 |
| 내용 | 바이오매스 및 천연 유래 물질을 활용하여 친환경적이고 기능적인 산업 소재를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이탈리아 세라믹기술연구원과의 협력을 통해 수산화인회석 기반 신규 나노 구조체를 개발, 옥수수 재배 실험에서 작물 생산성 향상 및 염 스트레스 저항 능력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튀김 음식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스러기를 재활용한 플라스틱 대체 포장재 개발에 성공하여 폐기물 문제 해결과 순환 경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무독성 자외선 차단 소재 개발을 위해 천연 페놀과 나노 수산화인회석 복합 구조를 연구하며, 폴리도파민 및 천연 염료 기반의 친환경 염모제 조성물 개발을 통해 인체 유해성을 최소화하고 염색 지속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감귤류 부산물을 활용한 생분해성 필름, 균사체-왕겨-귤피 기반 바이오매스 복합체 개발 등 다양한 생분해성 소재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실용적인 친환경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 연구는 화학 물질 사용을 줄이고 자연 유래 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고부가가치 친환경 소재를 제공합니다. |
| 활동 내용 | [기술 자문/이전] - 수산화인회석 기반 신규 나노 구조체 개발 및 '리커버 인그리디언츠(Recover Ingredients) 주식회사' 설립 및 기술 이전 (나노 수산화인회석 비료 매출액의 1~4% 기술료 수령) - 슈퍼밀웜 기반 폐플라스틱 분해기술 및 슈퍼 밀웜 배설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 생장 촉진 및 바이오매스 증진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기술 ㈜엠씨이에 이전 [학회/위원회 활동] - 공동 국제특허 출원 (이탈리아 세라믹기술연구원과), 7개국 개별국 특허 출원 - 튀김 음식 제조 과정에서 배출되는 부스러기를 활용한 플라스틱 대체 포장재 소재 개발 연구가 《환경 기술과 혁신(Environmental Technology & Innovation)》(JCR 관련 분야 상위 10%)에 게재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