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욱렬
황욱렬
소속
경상국립대학교 (기계공학부)
AI요약
경상국립대학교 기계항공우주공학부 황욱렬 교수는 유체역학, 유변학, 교반 기술 및 배터리 전극 제조 공정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자입니다. 복잡유체의 유동 모델링, 실시간 점도 측정 시스템 개발, 고성능 전극 생산을 위한 건식/습식 믹싱 공정 최적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차전지 전극 제조 및 산업 현장 적용 가능한 교반 기술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BK21 사업 등을 통해 미래 기계항공 우주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황욱렬 교수의 혁신적인 연구는 관련 산업의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황욱렬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wrhwang@gn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기계공학부 |
| 사무실 번호 | 055-772-1628 |
| 연구실 | 유변학 및 재료가공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rmp.gnu.ac.kr/ |
| 홈페이지 | https://rmp.gnu.ac.kr/professor |
| 소속 | 경상국립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주)윤성에프앤씨 |
| 재직기간 | 2024.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R&D센터장으로서 배터리 소재 관련 연구 개발 총괄 및 기술 사업화 주도 |
| 회사명 | 경상국립대학교 |
| 재직기간 | 2013.10.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기계공학부 교수로서 유변학 및 재료가공 분야 교육 및 연구 수행 |
| 회사명 | 미국 델라웨어 대학교 복합재료 센터 |
| 재직기간 | 2009.11.01 ~ 2010.08.31 |
| 담당업무 | 방문교수로서 복합재료 연구 협력 및 국제 공동 연구 참여 |
| 회사명 | 영국 리즈 대학교 응용수학과 |
| 재직기간 | 2009.01.01 ~ 2009.11.30 |
| 담당업무 | 방문 연구원으로서 응용수학 기반 유체 유동 연구 수행 및 해외 네트워크 구축 |
| 회사명 | 경상국립대학교 |
| 재직기간 | 2008.10.01 ~ 2013.09.30 |
| 담당업무 | 기계항공우주공학부 부교수로서 유변학 및 재료가공 분야 교육 및 연구 수행 |
| 회사명 | 경상국립대학교 |
| 재직기간 | 2004.09.01 ~ 2008.09.30 |
| 담당업무 | 기계항공우주공학부 조교수로서 유변학 및 재료가공 분야 교육 및 연구 수행 |
| 회사명 | 네덜란드 에인트호번 공과대학교 |
| 재직기간 | 2002.03.01 ~ 2004.08.31 |
| 담당업무 | 재료기술 Post Doc.으로서 재료 기술 분야 심화 연구 수행 |
| 회사명 | POSTECH |
| 재직기간 | 2001.03.01 ~ 2002.02.28 |
| 담당업무 | 기계공학과 Post Doc.으로서 기계공학 분야 심화 연구 수행 |
중요 키워드
#시추 유체#교반 기술#복합재료#비뉴턴 유체#점도 측정#이차전지#전산 유체 역학#산업 응용#에너지 소산율#유변학#재료가공#기술 사업화#공정 모니터링#건식 전극 제조#슬러리 믹싱
연구 분야
| 연구 1 | 이차전지 전극 제조 및 공정 최적화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고성능 이차전지 개발을 위한 핵심 요소인 전극 제조 및 공정 최적화 기술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에너지 밀도와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고체 전해질 및 양극복합재 컴파운드 제조 기술, 그리고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건식 및 습식 전극 제조 공정 개발에 주력합니다. 슬러리 믹싱 시스템의 유동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최적화된 믹싱 공법을 개발하여 전극 슬러리의 균일 분산과 고형분 함량 증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식 후막 전극 제조를 위한 연속식 무용매 혁신 공정 개발을 통해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in-line 품질 측정 기술을 도입하여 실시간으로 공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 발전에 필수적인 고품질 전극 생산 기술을 제공하며, 관련 산업의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고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 연구 2 | 비뉴턴 유체 유동 모델링 및 실시간 유변물성 측정 |
| 내용 | 본 연구실은 페인트, 고분자 용액, 이차전지 슬러리, 시추 이수와 같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는 비뉴턴 유체의 복잡한 유동 거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특히, 전산 유체 역학(CFD)을 활용하여 비뉴턴 유체의 미세 유동 구조를 3차원으로 직접 수치 해석하며, 유효점도, 에너지 소산율, 유량-압력 강하에 대한 보편적 정량화 기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산업 현장에서 고가 장비 없이도 비뉴턴 유체의 유변물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혁신적인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유체 풀 내 회전체, 주사기 유동, 낙구 유동, 연속적 유동장 등 다양한 원리를 적용하여 점도와 점탄성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측정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시추 유체의 특성 관리, 화학 공정의 품질 제어, 식품 및 제약 분야의 생산성 향상 등 광범위한 산업 응용 분야에서 공정 모니터링 및 제어를 최적화하는 데 핵심적인 기여를 합니다. |
| 연구 3 | 고급 교반 기술 및 기능성 복합재료 가공 |
| 내용 | 본 연구실은 유체 혼합 및 재료 분산의 핵심인 교반 기술을 혁신하고, 이를 다양한 기능성 복합재료 가공 공정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합니다. 혼합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카오스 교반 원리를 도입하여 불변 유선면 구조를 파괴하는 새로운 교반기 및 용기 설계를 개발하고 있으며, 비대칭 임펠러, 핀 배플, 표면 패턴 등을 활용하여 교반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트윈스크류 및 싱글스크류 믹서 내부의 비뉴턴 유체 유동을 예측하고 정량화하는 기술은 고점도 유체의 균일한 혼합에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교반 기술은 금속 복합재료의 용탕교반, 나노카본 복합재 제조를 위한 액상 가압 성형, 밀리미터파 흡수/차폐/방열 복합소재의 교반 및 코팅 공정 등 첨단 재료 가공 분야에 폭넓게 적용됩니다. 연구 결과는 고품질 복합재료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며, 항공우주, 자동차, 전자 등 다양한 산업에서 요구되는 고성능 재료의 개발 및 생산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강의
| 담당 업무 | [주요 강의 분야] - 공학수학1 - 재료성형 및 CAE - 기계공학특강 (교반기술) [강의 내용 특성] 2020년 1학기부터 학부 및 대학원 강의를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운영하며, 푸리에 급수, 기계공학 프로그래밍, 벡터의 정의 등 기초 공학부터 심화 내용까지 다양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대외활동
| 활동 내용 | [기술 자문/이전] - (주)윤성에프앤씨 R&D센터장으로서 연구 개발 활동을 통한 기술 이전 및 지도 가능성 내포 [학회/위원회 활동] - Associate Editor, Korea-Australia Rheology Journal (2020년 1월 - 현재) - Chair, Graduate School of Mechanical & Aerospace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Director, BK4 GNU Education and Research Program for Mechanical & Aerospace Engineers - 한국유변학회 종신회원, 정회원, 평의원, 조직이사(07-11), 편집이사(12-) (1997년 - 현재)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정회원 (2007년 - 현재) - 한국복합재료학회 정회원, 편집위원 (2011년 - 현재) - Society of Rheology, American Physical Society, Polymer Processing Society 회원 [수상 내역] - 2012년 11월: 한국유변학회 신진학술상 - 2010년 7월: 제20회 과학기술 우수논문상,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2008년 5월: 제17회 SBS 문화재단 교수해외연구지원 수상 - 1999년 2월: 제5회 삼성전자 휴먼테크 논문상 (동상) |
학력
| 학력 사항 | 박사 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2001) 석사 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1997) 학사 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1995)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