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IS1 전사인자 연구로 암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열다
암 및 유전자발현질환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 제시한 MEIS1 전사인자 연구
AI 요약
ㅇ 사진 설명: 고 이준화 교수, 최서리 박사, 서여진 연구원, 진호성 박사과정, 안혜빈 연구원, 고유연 박사과정, 서울대학교 이주용 교수(왼쪽부터).
경상국립대학교(GNU)의 화학과 故이준화 교수 연구팀이 유전자 발현 조절의 핵심 전사인자인 '메이스원(MEIS1)'의 DNA 염기서열 인식 메커니즘을 규명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는 암 및 유전자 발현 질환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며, 조직의 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에 큰 공헌을 했습니다. 해당 논문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되었습니다. 이준화 교수팀은 서울대 이주용 교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김낙균 박사,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류경석 박사와 협력하여 MEIS1 전사인자가 특정 DNA 염기서열을 어떻게 인식하고 결합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연구팀은 최첨단 핵자기공명(NMR) 분광기와 등온적정열량계를 이용해 MEIS1의 선택적 및 비선택적 결합 모드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염기서열 인식 메커니즘을 상세히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는 MEIS1의 DNA 염기서열 인식 과정을 열역학적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설명함으로써, 단백질-DNA 상호작용 연구에서의 해석 오류를 방지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MEIS1이 비선택적 결합을 통해 DNA와 초기 접촉을 하고, 이후 특정 부위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발견은 암과 유전자 발현 관련 질환 연구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치료법 개발에도 큰 기여를 할 전망입니다. 이 연구는 故이준화 교수의 헌신적인 연구 열정과 동료 연구자 및 제자들로부터 깊은 존경을 받은 그의 업적을 기념합니다. 이준화 교수는 지난해 폐렴으로 진단을 받고 치료 중에 올해 1월 영면에 들었습니다. 연구팀은 그의 업적이 후학들에게 지속적으로 영감을 줄 것이라고 평가하며, 그의 뛰어난 연구 성과가 과학계에서 영원히 빛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우수신진지원사업,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앞으로 연구팀은 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해 더 많은 생명과학 분야의 난제를 해결하고, 더 나은 치료법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입니다.